본문바로가기

글로벌 링크

소통하고 공감하며,
행동하는 의회
군산시의회

홈으로 의정활동 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글보기, 각항목은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분됨
은적사 주차장 유료화 문제,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
작성자 홍보계 작성일 2025.08.26 조회수 27

군산시의회 설경민 의원은 26일 열린 제277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은적사 주차장 유료화 문제,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라는 주제로 5분 자유발언을 진행했다.

 

설경민 의원은 월명공원은 백제 무왕 14년 원광법사가 창건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는 전북특별자치도에서 가장 오래된 천년고찰 은적사를 품고 있는 곳으로 도심 속에서 역사와 자연을 동시에 즐길 수 있어 사계절 내내 찾는 이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은적사 방면 출입구는 여러 진입로 가운데 가장 많은 시민과 관광객이 이용하는 사실상의 주 출입구인데 은적사 출입구의 기존 주차장은 은적사 소유로 운영 관리되는 3,250규모로 약 66대를 수용하여 최근까지 무료 사용이 가능했으나, 지난 7월 갑자기 전면 유료화가 되면서 공원을 찾는 이들이 주차공간을 확보하지 못해 불편을 호소하며 절과 군산시 행정에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물론 해당 부지는 은적사의 사유재산으로 무료와 유료 여부는 소유주의 권한이기에 은적사만을 탓할 수 없다며 문제의 본질은 그동안 사유재산이다”, “공원부지가 아니다라는 말만 되풀이하며 은적사 소유 토지를 무상으로 사용하는 것을 당연시하고 공공성이 필요한 공간에 대해 대책을 세우지 않은 군산시의 행정에 있다고 지적했다.


덧붙여, 월명공원 일원에 무장애 나눔길 조성사업(16억 원), 맨발 걷기길 조성사업(4억 원) 등 사업이 추진되었고, 앞으로도 유아 체험 숲 정비, 동수림분 수변데크 정비 등 추가 사업이 예정되어 있어 공원 이용객 증가와 함께 주차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월명공원 내 주차장은 5개소 208면에 불과하며 은적사 주차장 66면은 불포함 되어 있기에 은적사 주차장의 유료화가 아니더라도 전체 주차수용능력은 한계에 다다른 상황임을 짐작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결과적으로 이 모든 불편과 민원은 행정이 보여준 명백한 직무 유기라며 시의 적극개입(은적사와 협의, 협의 무산 시 대체 주차공간 확보) 내년도 예산 반영할 수 있도록 행정절차 긴급 추진(매입 고려 사업비 확보) 유사 사례 재발 방지 위한 제도적 보완 필요(전수조사 통해 유사 사례 점검, 주요 공공시설 연계공간의 공영주차장 병행되도록 제도적 강화) 월명공원 전체 주차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종합적인 대책 수립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끝으로, 설경민 의원은 이번 은적사 주차장 문제는 군산시 행정이 그간 소극적으로 대응해 온 결과로, 더 이상 시민들에게 피해를 전가해서는 안된다며 집행부에 시민과 방문객의 불편 해소를 최우선으로 삼고 더 늦기 전에 시민을 위한 은적사 주차장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마련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첨부
    조회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다음글, 각 항목은 이전글, 다음글 제목을 보여줍니다.
다음글 장애인 사용 자동차 등 표지 반납 의무화 대책 촉구 건의안 채택
이전글 「항만법 시행령」일부개정(안) 관련 군산항 명칭 및 위치 반영 촉구! 건의안 송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