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보건소장 성낙영입니다.
항상 시정발전과 시민의 복리증진을 위해 노력하시는 김영자 위원장님과 예결 위원님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예산이 원안대로 가결될 수 있도록 위원님들의 각별한 배려를 부탁드리며, 지금부터 보건소 소관 2025년도 본예산 세출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총예산은 전년도 예산액 268억 4,008만 9천 원 대비 52억 3,743만 4천 원이 감액된 216억 265만 5천 원입니다.
주요 증액 사업은 공공심야어린이병원 운영 지원을 위하여 4억 3,500만 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예산안 559페이지입니다.
보건소 청소 대행 용역 사업비로 1억 2천만 원, 공공보건시설 내진성능평가 용역 실시를 포함한 시설비 1억 2천만 원, 보건소 노후 방송 장비 교체 구입을 위한 자산취득비 9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60페이지입니다.
보건지소 운영 사업비로 보건지소 공중보건의사 및 직원 월액여비 2,148만 원, 공중보건의사 진료활동 장려금 2억 8,100만 원, 일반 진료 약품 및 의료 소모품 구입비로 2억 1천만 원을 감액한 2억 1,500만 원, 농어촌 노후 보건 의료장비 개선 사업비로 1,349만 9천 원을 증액한 8,3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61페이지 하단입니다.
응급의료기관 평가 결과에 따른 보조금으로 2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62페이지입니다.
헌혈 참여 촉진을 위한 헌혈 권장 지원 사업비로 상품권 발행 비용을 포함한 사업비 1억 240만 원, 공공심야어린이병원 운영 지원을 위한 신규 사업비로 4억 3,500만 원, 공공 야간·심야 약국 운영 지원을 위한 신규 사업비로 4,380만 원, 보건진료소 운영경비로 8,88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63페이지입니다.
보건진료소 일반 진료 약품 및 의료 소모품 구입비로 7천만 원, 보건진료소 노후시설 유지보수비로 4,500만 원, 보건진료소 노후화 장비 교체를 위하여 자산취득비 1,680만 원을 계상하였고, 금연지도원 활동수당 등 기타보상금으로 1,900만 원을, 금연보조제 구입 등 의료 및 회복비로 5,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66페이지입니다.
보건소 내소자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의료 및 회복비로 6,840만 원, 아토피 예방상담실 운영을 위한 의료 및 회복비로 1,708만 원, 이동진료 및 의료반 운영을 위한 운영 및 회복비로 2천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67페이지입니다.
경로당 노인 건강관리 지원 사업비로 강사수당 등 기타보상금으로 1억 300만 원을, 소모품 구입 등 의료 및 회복비로 6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69페이지입니다.
스마트기기 활용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운영경비로 3,107만 4천 원, 대상자 참여 물품 구입을 위한 의료 및 회복비로 1억 원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71페이지입니다.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운영 위탁사업비로 5,110만 원, 정신건강복지센터 인력 확충 위탁사업비로 5,438만 원 증액한 8억 8,803만 원을, 통합정신건강증진사업 운영 위탁사업비로 6,360만 원 증액한 2억 5,66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72페이지입니다.
자살예방 심리치유 지원 위탁사업비로 1억 8,470만 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지원 위탁사업비로 1억 7,544만 원을, 정신재활시설 운영 사업비로 7억 5,317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73페이지입니다.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위탁사업비로 4억 4,997만 4천 원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74페이지입니다.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사업비로 3억 6천만 원을, 전북형 난임 시술비 지원 사업비로 8,480만 원, 한방 난임부부 지원 사업비로 5,4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76페이지입니다.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사업비로 9천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577페이지입니다.
산후 건강관리비 지원 사업비로 1억 3,600만 원, 산후조리 비용 지원 사업비로 5억 5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78페이지입니다.
저소득층 기저귀 및 조제분유 지원 위탁사업비로 5억 596만 원, 임신 사전 건강관리 지원 사업비로 7,800만 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위탁사업비로 6억 3,9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79페이지입니다.
예비맘·임산부 영양제 구입비로 3,800만 원을, 희귀난치성 질환자 의료비 지원 위탁사업비로 1억 1천만 원, 희귀난치성 질환자 교통비 지원 신규 사업비로 1억 원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80페이지입니다.
암환자 의료비 및 재가암관리 지원 사업비로 2억 5천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581페이지입니다.
국가암검진사업 검진비 지원 위탁사업비로 6억 2,1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582페이지입니다.
치매치료관리비 지원 위탁사업비로 4억 6,800만 원을, 소득기준 폐지에 의한 치매치료관리비 확대 지원 위탁사업비로 7천만 원을, 한의치매 예방관리 사업비로 한약 및 침구 치료비로 의료 및 회복비 4천만 원을, 치매안심센터 운영비 지원 사업비로 사무관리비 등 일반운영비 8,879만 4천 원을, 행사실비 지원금 등 일반보전금 3,755만 7천 원을, 치매환자 조호물품 구입 등 민간이전금 1억 33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88페이지입니다.
영양플러스사업 보충식품 구입비 등으로 1억 8,3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89페이지입니다.
통합건강증진사업 추진 사업비로 행사 및 캠페인 일반운영비로 1,385만 6천 원 계상하였습니다.
591페이지입니다.
모바일헬스케어 사업비로 활동량계 및 의료 소모품 등 구입비 1천만 원을, 감염병관리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비 2,164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92페이지입니다.
방역소독사업을 위한 기간제근로자 인건비로 3억 400만 원 계상하였고, 방역 약품 및 방역소독 유류 구입비로 4,840만 원을 감액한 1억 9,36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93페이지입니다.
결핵 약품 및 기자재 구입 등 의료 및 회복비로 1,301만 9천 원을 증액한 6,251만 원을, 전북형 노인결핵 검진사업 추진을 위하여 의료 및 회복비로 652만 2천 원을 감액한 5,528만 4천 원을, 지자체 결핵진단 검사 지원 사업비로 2,98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598페이지입니다.
어린이 예방접종 등 국가예방접종 실시 사업비로 6,124만 원을 감액한 40억 1,296만 2천 원 계상하였습니다.
599페이지입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사업비 등 예방접종 지원사업 추진을 위하여 1억 4,013만 6천 원을 감액한 7억 3,336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코로나19 접종시행비 등 18억 3,840만 원을 증액한 25억 6,436만 8천 원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안 605페이지입니다.
보건소 운영 전반을 위한 시설물 유지관리 용역비 및 공공요금 등 일반운영비로 4억 7천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보건소 소관 2025년 본예산안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