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경제과 소관 2025년 본예산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189쪽입니다.
189쪽 일자리경제과 2025년 본예산 총액은 492억 7,600만 원으로, 국비 1억 6,300만 원, 균특 1,100만 원, 기금 2천만 원, 도비 27억 3,100만 원, 시비 463억 5천만 원입니다.
전년도 예산액보다 20억 4,800만 원을 감액 편성하였으며 세부내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89쪽입니다.
우리 지역 생산품 이용 제고 및 지역물가 안정관리를 위해 사무관리비 7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물가모니터링요원 활동비 400만 원, 1372상담센터 운영 및 소비자 생활상담, 경제교육 추진 등을 위한 소비자단체 민간경상사업보조 7천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189쪽 하단입니다.
군산시 특산품 지정 심의위원회 운영 및 새들군산 상표 리뉴얼을 통한 특산품 상표개발 공모전 홍보물 제작 및 시상금으로 사무관리비 400만 원, 기타보상금 400만 원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190쪽입니다.
소비자들에게 착한가격과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착한가격업소 인센티브 지원을 위해 국도비를 포함한 6,9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190쪽 하단부터 191쪽 상단입니다.
군산새만금컨벤션센터 시설 보수로 공공운영비 1천만 원, 마이스산업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행사유치지원금으로 기타보상금 6천만 원, 새만금컨벤션센터 민간위탁비로 20억 4,900만 원, 2025년 새만금 오토&레저 캠핑쇼 개최를 위한 도비 3천만 원, 군산새만금컨벤션센터 전시장 내외부 H빔 철골 보수공사로 시설비 1,600만 원, 군산물류지원센터 공공요금 및 시설유지관리를 위한 공공운영비 2,200만 원과 시설비 1,600만 원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191쪽 중간 부분입니다.
전통시장 이용 홍보 및 신영시장 국유재산 대부료 등 800만 원, 전통시장 공용시설 요금지원 및 화재알림시설 유지보수 8,8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192쪽입니다.
전통시장 장보기 도우미 및 화재공제 지원사업, 전통시장 와글와글 시장가요제 도비 9,100만 원 포함한 3억 8,6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기후위기 취약계층지역 지원사업 공모에 따른 역전시장 증발냉방장치 설치사업 관련 사업비 3억 원 계상하였습니다.
나운특화거리 개선사업 4천만 원, 공설시장 노후전선 정비사업 7억 4,600만 원, 명산시장 노후담장 정비사업 1,200만 원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193쪽입니다.
공설시장 승강기, 냉난방기, 소방안전시설 등 유지관리용역 등 7,700만 원, 건축물 정기안전점검 및 공공요금 지원에 7천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공설시장 건물 안전관리 및 청소관리 민간위탁금 1억 2,800만 원, 공설시장 무빙워크 유지보수 및 옥외소화전 누수 배관정비 등 정비공사 8천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193쪽 중간 부분입니다.
군산사랑상품권 발행 및 운영에 대해서 2025년도 군산사랑상품권은 3천억 원을 발행하여 운영할 계획이며, 총사업비는 323억 6,700만 원으로, 발행비용으로 사무관리비 23억 1천만 원, 상품권 판매 및 운영시스템 사용비 등으로 공공운영비 4,600만 원, 할인비용 및 부정유통 신고포상금 300억 400만 원 등을 편성하였습니다.
193쪽 하단입니다.
군산시 상권활성화재단 운영을 위한 출연금 12억 4,7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194쪽입니다.
소상공인 경영안정도모를 위한 영세소상공인 카드수수료 지원사업 11억 5,500만 원, 소상공인 특례보증 지원사업 출연금 5억 원, 소상공인 노란우산공제 가입지원 1억 1,900만 원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소상공인 역량강화사업에 1,500만 원, 소상공인의 날 기념행사 지원에 1,400만 원, 소상공인 특례보증 지원사업 이차보전 지원 17억 원 계상하였습니다.
195쪽입니다.
중소유통공동도매물류센터 기능보강사업으로 도비 4억 원, 시비 3억 5천만 원, 총사업비 7억 5천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중소유통공동도매물류센터 배송지원사업으로 민간경상보조금 1억 원 계상하였으며, 자부담 5,700만 원을 포함하여 총사업비 1억 5,700만 원입니다.
195쪽 중간에서 196쪽 상단입니다.
사회조사, 사업체 조사, 통계연보 작성 등에 필요한 조사요원 인건비로 1억 3,700만 원, 통계조사 운영을 위한 사무관리비 2,900만 원, 공공운영비 1,600만 원 등 총 1억 8,3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196쪽입니다.
일자리정책 추진을 위한 사무관리비 1,600만 원, 국내여비 5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197쪽입니다.
맞춤형 기술인력 교육지원사업으로 도비 포함 4억 4,7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일자리거버넌스사업 추진을 위한 사무관리비 800만 원, 지역맞춤형 전기차클러스터 전문인력 양성사업으로 2억 4,600만 원, 공동근로복지기금 지원사업에 도비 포함 출연금 2억 원 계상하였습니다.
197쪽 하단입니다.
4060 신중년 취업 지원사업에 도비를 포함한 1억 7,8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198쪽 상단입니다.
조선업근로자 취업 지원사업으로 도비 포함 9억 5,37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198쪽 중간 부분, 근로자 관련시설물 관리입니다.
시설물 관리를 위해 사무관리비 500만 원과 소규모 시설보수를 위해 공공운영비 4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근로자종합복지관 운영비, 근로자임대아파트 경비 위탁비로 1억 5,300만 원, 근로자 관련 시설물 유지보수공사를 위해 5천만 원, 노후공공임대주택 시설개선사업에 기금을 포함 3,3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199쪽입니다.
관내 근로자 자녀 장학금으로 4천만 원, 노사협력 지원사업으로 1억 7,6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관내 취업 취약계층에 직접 일자리를 제공하는 공공근로사업으로 인건비 13억 4,600만 원, 사업추진 물품 구입을 위한 재료비 3천만 원 포함해 13억 8,1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200페이지입니다.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에 도비를 포함하여 인건비 8억 7,600만 원, 재료비 2천만 원 등을 포함 9억 6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201쪽입니다.
사회적기업에 채용근로자 인건비를 지원해 주는 일자리 창출사업으로 도비 포함 2억 5,400만 원, 청년을 채용하는 사회적기업에게 인건비 및 교통비와 정규직전환 청년에게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사회적경제 청년혁신가 지원사업에 국도비 포함 6,9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202쪽입니다.
지역주민에게 소득과 일자리를 제공하는 마을기업 육성사업에 국도비 포함 1천만 원, 마을기업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마을기업 사무장 지원사업에 도비 포함 2,300만 원,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운영을 위한 민간위탁비 2억 원, 시·군 사회적경제 중간지원조직 구축지원사업 도비 포함 1억 원으로 민간위탁금 총 3억 원 계상하였습니다.
사회적경제기업의 판로개척 및 자립기반 지원을 위한 자치단체 지역특화사업에 도비 포함 3천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203쪽입니다.
예비 또는 초기 청년창업가에게 창업자금을 지원하는 창업희망키움사업 1억 6,500만 원, 지역특화 청년창업가 발굴과 창업 지원을 위한 시·군 청년혁신가 예비 창업지원사업에 4,5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수제창작플랫폼 공공요금 등 일반운영비 2,700만 원, 입주창업자 제품개발비, 마케팅 지원을 위해 수제창작플랫폼 지원사업에 3,7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LH와 연계하여 창업가에게 주거공간을 제공하는 군산STAY 창업가 주거지원사업으로 월 임차료 3,100만 원, 임차보증금 5,200만 원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외식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 예비창업가에게 사업장 운영 기회를 제공하는 청년창업플랫폼 청춘미가사업은 일반운영비 5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204쪽입니다.
중장년층 기술창업분야 창업가에게 창업입주공간 사업화 프로그램 등을 지원하는 중장년 기술창업 지원사업으로 3천만 원, 대학 인프라를 활용하여 기술창업기업을 육성하는 전북형 창업패키지사업 도비 포함 8억 원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일자리경제과 소관 예산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