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청소년과 소관 2025년도 본예산 주요 세출예산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반회계 세출예산은 2024년 대비 19억 5,300만 1천 원이 감액된 316억 4,482만 3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예산서 401쪽입니다.
청소년한부모 자립 지원에 3,296만 원, 저소득 한부모가족 자녀 아동양육비 등 지원에 51억 6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02쪽입니다.
저소득 한부모가정 생활 자립 지원을 위해 6억 2,300만 원을 계상하였고,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지원을 위한 모자복지시설 퇴소자 정착금 및 김장비 2,320만 원, 모자복지시설 운영을 위한 법정운영비 보조로 5억 9,254만 5천 원, 시설 종사자 수당에 1,1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03쪽입니다.
한부모시설 입소 세대 아이돌봄서비스 지원을 위해 3,644만 3천 원을 계상하였고, 한부모복지시설 입소자 상담치료비 지원에 1,456만 원, 여성복지시설 수급자 생계급여 및 모자복지시설에 2억 6,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04쪽입니다.
여성 생리용품 자판기 운영을 위해 여성 생리대 구입 등에 1,2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여성안심 조성을 위한 안심홈세트 지원사업에 1,737만 원을 계상하였고, 교육기관에 대한 보조로 저녁(오후) 돌봄교실 지원사업에 6,2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05쪽입니다.
여성 지도 육성을 위한 여성단체 운영비 지원에 2,192만 원, 여성단체 역량 강화 4건의 사업 지원에 3,580만 원 계상하였고, 청소년부모 아동양육비 지원에 1,200만 원, 여성사회대학 공공운영비 1억 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06쪽입니다.
여성사회대학 운영을 위한 강사수당 5,500만 원, 여성교육장 청소용역비 2,900만 원, 여성사회대학 운영 물품 구입에 2,289만 9천 원, 여성인력개발센터 운영비 3억 6,5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경력 단절 여성 취업 지원을 위한 새일센터 종사자 처우개선비 2,484만 원, 취업상담사 활동비 지원에 1,6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07쪽입니다.
새일센터 운영과 관련하여 경력 단절 여성 새일여성인턴제 2억 5,760만 원, 경력 단절 여성 직업교육 훈련비 1억 7,080만 원, 새일센터 운영 지원에 3억 3,167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가정폭력상담소 운영비 3억 4,224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08쪽입니다.
가정폭력피해자 지원을 위한 보호시설 운영비 2억 5,834만 원, 비수급자 생계비 1,180만 원, 퇴소자 자립 지원금에 2천만 원을 계상하였고, 가정폭력피해자 의료비 지원과 치료 회복 프로그램 지원에 2,506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09쪽입니다.
성폭력상담소 운영비 1억 8,175만 9천 원, 성폭력피해자 지원 관련하여 보호시설 운영비 및 비수급자 생계비에 2억 1,968만 3천 원, 성폭력피해자 의료비·간병비 지원에 1,99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10쪽입니다.
성폭력 치료 회복 프로그램 운영에 1,126만 6천 원 계상하였고, 여성폭력 관련 시설 운영 지원으로 여성복지시설 종사자 수당 3,636만 원, 여성폭력피해자 지원시설 명절휴가비 9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11쪽입니다.
성폭력 가정폭력 상담소 개보수에 2,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자원봉사센터 바닥 방수공사, 시스템 냉난방기 설치 등을 위한 시설 개선 사업비 6천만 원, 자원봉사센터 운영비 및 사업비로 5억 6,994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12쪽입니다.
자원봉사센터 LED 전광판 설치를 위한 환경 개선사업 2,500만 원, 전국 통합 자원봉사보험 가입 서비스 1,169만 2천 원, 자원봉사 코디네이터 지원 육성사업에 6,691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13쪽입니다.
다문화가족 체육 지원사업 500만 원, 가족센터 종사자 복지수당 4,46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14쪽입니다.
다문화가족 도비 지원사업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 인건비 5,873만 3천 원, 결혼이민자 자립 지원 통합사업 2,300만 원, 글로벌 마을학당 운영 1억 3천만 원, 다문화가족 고향나들이 사업 2,940만 원을 계상하였고, 결혼이민자를 위한 역량 강화 지원에 2천만 원, 자녀양육 등 방문교육서비스 지원에 1억 4,43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15쪽입니다.
결혼이민자 통번역 서비스 1억 833만 원,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 발달 지원에 1억 6,696만 원, 이중언어 학습 지원 9,18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어서 416쪽입니다.
가족센터 운영을 위한 종사자 인건비, 행정 운영경비, 사업비 등 지원사업에 12억 2,254만 원, 2025년 가족센터 신축 건물 개관에 따른 가족센터시설 유지관리비 1억 500만 원, 가족센터 집기류 구입 1억 원, 가족센터 인테리어 공사 진행을 위한 건립 비용에 2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첫만남 이용권 사업에 22억 5,8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17쪽입니다.
출산 장려 추진사업 21억 5,250만 원, 아이돌봄 지원사업 71억 3,712만 4천 원, 아이돌봄 본인 부담금 지원사업 9억 4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18쪽입니다.
아이돌보미 처우 개선을 위해 6,624만 원,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지원 1억 1,948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19쪽입니다.
공동육아나눔터 신규 예정인 2개소 리모델링 공사비, 기자재 구입을 위한 환경조성 지원에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청소년 선도 및 보호를 위한 사업비 1억 147만 원,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운영 지원사업에 2억 6,241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20쪽입니다.
청소년 안전망 운영사업에 1억 874만 원, 학교 밖 청소년 통합지원 프로그램 운영비로 2억 2,569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21쪽입니다.
청소년수련관 운영에 12억 8천만 원, 청소년문화의집 운영에 4억 2천만 원, 청소년복합문화센터 기능 전환을 위한 노후시설 기능보강 및 장비 보강을 위한 사업비 15억 원,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운영에 5억 5,153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22쪽입니다.
청소년지도자 특별수당 지원을 위해 2,736만 원, 청소년쉼터 운영 지원에 7억 6,270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23쪽입니다.
청소년쉼터 종사자 특별수당 2,160만 원, 제2회 전북특별자치도 청소년 박람회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24쪽입니다.
여성 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2억 6,800만 원, 청소년성문화센터 운영에 9,3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25쪽입니다.
청소년성문화센터 인력운영비 1억 5,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여성가족청소년과 소관 본예산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이어서 2025년도 기금운용 계획안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페이지 89쪽 양성평등기금입니다.
양성평등기본법 및 군산시 양성평등 기본 조례에 의거 1991년 설치된 양성평등기금 중 10억 원은 통합재정안정기금에 예탁하였고, 2025년도 자금수지 총괄은 1억 4,667만 원이며, 수입계획은 예탁금 및 예치금 이자수입 3,290만 원으로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공모사업을 추진하겠습니다.
이상으로 2025년도 여성가족청소년과 소관 기금운용 계획안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